염색과 섬유 기초 이론

염색이란?

염료와 안료 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섬유에 착색하는 작업을 말한다. (색상 부여 작업)

염색공업은 섬유공업의 후반부분이다. 전반에는 방적, 편직 등 물리적 작업을 행한다.

후반에서는 화학적 자재를 사용하여 화학변화를 수반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천연염색은 천연의 염재사용)

섬유에서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고 필요한 물질을 첨가하여주는 과정.

색채의 구분과 색의 3요소

1) 색채 구분

ㆍ무채색 : 백색, 회색, 흙색

ㆍ유채색 : 상기 색상들을 제외한 색의 붉은 기와 푸른 기 (적미. 청미)가 있으면 유채색

2) 색의 3요소 (3속성)

ㆍ색상 : 붉다. 푸르다 등 색의종류

ㆍ명도 : 색의 밝기

ㆍ채도 : 색의 선명도. 혼탁도 등으로 (색의농도) 채도가 높은 색이 순색이다.

염색의 발생과 기원

1) 자연 발생

ㆍ생활 속에 소복에 묻힌 포도나 산딸기에 (자연물) 의한 자연착색

2) 자연물의 약물 치료

ㆍ몸에 상처나 화상 등을 치료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색소가 즙이나 끓이는 과정에 염착이 되는 염색

3) 매염제 사용

ㆍ염료를 끓일 때 사용하고 남은 땔감 (벼, 보리, 콩대 등)

ㆍ염재로 사용하고 남은 줄기나 찌꺼기

ㆍ자연적 사용에 따라 염착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깨닫게 됨.

– 이렇게 발생된 염색은 처음에는 단지 신체를 기리는 옷으로 시작된 것이 그 옷에 아름답게 채색해 보고 싶은 정서를 찾아 자연의 공기나, 물의 색. 선명한 꽃이나 수목의 색을 자신의 신체에 옮겨 장식 하고 싶은 의지를 가지게 되어 염색의 발전이 있게 되었다.

그리고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결국 19세기에 이르러 합성적으로 염료를 만들게 되었으며, 이때까지 인간은 자연의 생물과 흙으로부터 아름다운 색소를 구하는 지혜를 가지게 된 것이다.

염료의 역사

    
기원전서기  
7000-5000110001800
    

1) 천연염료의 역사

고대 이집트의 미이라를 감았던 마포가 천연식물 인디고로 염색한 것이며, 로마 황제의 토-가(외의)가칠리안 퍼플 (‘무렉스=호네’ 라는 조개의 분비물) 이라는 천연 동물 염료로 염색된 것이라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런것도 살펴보세요!  전통공예 - 광물성 염재를 이용한 염색

2) 합성염료

1856년 런던의 왕립화학학교에 초빙되어 교수를 하고 있던 독일의 유기화학자 호프만(A.W.Hofman.1818-1892)의 실험조수였던 18세의 소년 퍼킨(W.H Perkin, 1838-1907)이 말라리아의 특효약인 키니-네 의 합성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하였다.

불순한 아닐린을 산화하는 실험 중에서 아름다운 자색을 얻었던 것이다. 또한 이색소가 견, 양모를 잘 염색하고 세탁에도 강하다는 사실을 알았고 아버지와 협의, 협력으로 공장을 설립하고 공업적 생산에 성공했다.

색소란?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고유의 색깔을 갖는 물질로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진 합성염료, 천연의 물질로 이루어진 천연염료와 안료로 나눌 수 있다.

1) 염료 : 염색방법에 따라 섬유에 착색되고 햇빛 ,세탁 ,땀 등에 견뢰성을 (저항력) 가지는

유기 방향족 화합물과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 염재를 염료라 한다.

2) 안료 : 물과는 친화성이 없으며, 안료자체는 섬유나 기타소재에 염착성을 갖지 않는 색소

3) 색소의 분류

    천연염료 식물성염료 : 쪽, 치자, 황백, 소목, 홍화 등
 
     동물성염료 : 코치닐, 퍼플조개, 커미즈, 피나즙 등
  염료   광물성염료 : 광물성, 암석옷
 
      
    합성염료 화학구조의 특징, 염색성과 염색방법에 따라 분류
     (반응성, 직접, 산성, 염기성, 아조, 분산, 나플톨, 바트 염료 등)
색소      
     천연광물 : 황토, 머드, 숯, 화산재, 비샤브라운, 게르마늄 등
 
    무기안료  
 
      인조무기물
 
  안료    
     불용성 안료
 
    유기안료 : 현장 사용 각종 유색 안료
 
      레이크 안료
 

섬유원료의 분류

이런것도 살펴보세요!  천연염색 기초지식(1~5)

섬유원료는 크게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섬유와 인공적으로 만든 인조섬유로 나누어진다.

– 섬유의 분류

   셀루로오즈섬유  껍질섬유 : 마, 닥, 모시 등 줄기섬유류
   
   (식물성)  과실섬유 : 야자, 바나나섬유
      잎 섬유 : 아바카, 사이잘섬유
      씨앗(종자)섬유 : 면, 케이폭 섬유
 
       
천연섬유  단백질섬유  스테이플 : 양모, 헤어섬유
    
      (낙타털, 알파카, 캐시미어)
      필라멘트 : 견섬유
 
       
   광물질 섬유  석면
   
   유기질섬유 천연고분자  알긴산섬유 :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셀루로오즈를 아세틸화하여 만든 섬유)
        셀루로오즈 및 유도체 : 폴리노직, 비스코스레이몬, 큐브라 등
        단백질섬유 : 우유단백질, 콩단백질 섬유
        고무섬유 : 천연 라텍스
 
         
     합성고분자  축합고분자  폴리아미드 : N6, N66
     
인조섬유          폴리에스테르 : PET
           폴리우레탄 : 스판텍스
 
            
        부가중합고분자  폴리에틸렌, 프로필렌,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폴리비닐알코올,아크릴, 모다크릴 등
   
           
           
           
 
   무기질섬유: 유리, 금속, 탄소섬유 등
 

※ 4대천연섬유 : 면섬유, 마섬유, 견섬유, 양모섬유

이런것도 살펴보세요!  천연염색 기초지식(6~9)

3대합성섬유 : 나일론섬유, 아크릴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